사실 세차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미국 코로나였습니다.
잠깐 일년간 미국에 살 계기가 있었는데, 거기서 평소 바라던 F150을 구입한 뒤
무슨 짐차에 세차를 하냐며 흙먼지가 끼면 비가 올날을 기다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2020년 초반 미국 확진자 수가 대폭 증가하며
제가 살던 펜실베니아 주도 대략 2-3개월 간 자택대기령이 발동되었습니다.
다들 머리 손질도 못해 스타트렉 스팍 머리를 하고 다니던 시절입니다.
(뭐, 미장원이 닫았기 때문에..)
이때, 무료한 시간을 달래고자 시작한 세차.
실내와 실외를 따지지 않고 용품을 모으니 두어 상자가 넘지는 물건들이 모였습니다.
집 앞에서 열심히 닦고 또 닦다보면 동네 주민들이 인사도 하고 가고
이 동네에서 가장 깨끗한 차는 네것이다 라고 한마디 건네고 가고..
깔끔한 아시안 스테레오 타입을 완성해 가는 와중에 봉쇄가 풀렸습니다.
그 뒤 세차용품은 창고에 들어가 나오지 않다가 귀국할 때, 타던 짐차에 실어 모두 가져왔습니다.
오프로드를 즐기려 픽업을 샀건만 스월을 챙기는 안목이 시작되고 스톤칩이나 딩이 보이면 신경이 쓰이게 되었습니다.
요즘도 세차창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덕분에 하나하나 써보며 알게된 세차 후기를 남겨보기로 합니다.
아래는 제가 진행하는 세차의 순서입니다. 이를 통해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0. 계획 : 실내를 할지, 실외를 할지, 모두 할지. 어떤 물건을 사용할지 미리 선택하고 세척제를 계량함.
1. 실내 정리 : 본넷을 열고, 차량을 식혀 차량 표면에 화학제들이 말라붙는 것을 막음. 본격세차 전 실내 청소.
2. 고압수 헹굼 : 차체에 묻은 먼지를 간략히 씻어낸다.
3. 프리워시 : 도장면의 오염물(타르/철분/버그)을 분해하기 위한 약제, All Purpose Cleaner(APC, 다목적세정제) 도포.
4. 휠/타이어/엔진룸 클리닝 : 프리워시가 오염물을 분해하는 동안, 기타 위치 세척
5. 고압수 헹굼 :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 분사한 약제를 씻어낸다.
6. 카샴푸 : 폼캐논으로 거품을 온 차체에 도포 후 전용의 버킷에 카샴푸를 풀어 브러쉬와 미트를 이용해 차체를 닦아냄.
7. 고압수 헹굼 : 미트질이 끝났으면 고압수로 카샴푸를 씻어낸다.
8. 드라잉 : 세차베이에서 차를 빼고 드라잉존으로 이동해서 물기를 닦아냄. 드라잉타올 및 에어건을 이용.
9. 클레잉 : 잔존한 고착 오염물을 클레이 바로 제거한다. 페인트클렌저 약제, 클레이 바, 클레이 미트 등을 사용.
10. 실런트/왁스 : 자체에 넓게 펴 바른 뒤 15분~1시간 정도의 경화시간을 가진 뒤 버핑타올을 이용해 닦아냄.
댓글0